2013. 12. 17. 01:17 | Life as M.D.

  의학계의 권위지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에 2013년 5월 달에 실린 내용이구요.

 디씨인사이드 항공기 갤러리에 제가 올린 글이라 역으로 퍼 옵니다. ㅎㅎ

 

참고 저널 - N Engl J Med 2013;368:2075-83

Outcomes of Medical Emergencies on Commercial Airline Flights 

Drew C. Peterson, M.D. 등 

저작권 : 메사추세츠 의과대학  -> 관심있는 분은 직접 읽어보셔도 되용~

  

 최대한 요약해서 써봤습니다.

 

연구설계 : 2008~2010년까지 미국 5개 항공사의 국내선과 국제선 운항자료

그 중 메디컬 센터에 보고가 된 자료만 해당

 

결과 : 총 7백만 번의 비행에서 기내닥터콜은 약 12,000 회 (확률 1/600)

 

가장 흔한 증상들 : syncope or presyncope (쉬운말로 기절) 37.4 %  호흡관련 증상(12.1%) 구역 or 구토 등 소화기계 (9.5%)

 

기내 의료상황에 실제 의사가 참여한 비율 48.1%

비행기 회항 7.3%

 

기내에서 발생한 환자의 25% 는 착륙 후 병원행, 전체 환자의 8.6% 입원 그리고 사망은 0.3%

사망 환자의 주요 추정 사인으로는 stroke(중풍), 호흡부전, 심장마비 등

 

가끔 기사로도 보도되는 흥미로운(?) 기내분만, 심장마비같은 케이스는 총 1만 2천회의 의료상황중 각각 14명, 38명 으로 매우 드물었음

 

 

결론 : 대부분의 기내 응급의료상황은 syncope(기절), 호흡곤란, 소화기 증상이었으며 심각한 경우는 흔하지 않고 대개는 착륙전에 호전되었다.

       제 의사가 응급의료 상황에 참여한 횟수는 전체의 약 절반 정도.

     항공기 회항이나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기내에서 발생한 환자의 약 4분의 1정도만 병원치료가 필요하였다.

 

 

 

현실 : 기내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환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1차적으로는 기장에게 있다.

        그러나 의사가 기내닥터콜에 응했을 경우, 그 순간부터 환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의사가 지게 되어있다.

        하지만 환자의 예후가 좋다면 모르겠지만 결과가 안좋게 나왔을 때

        기내 응급의료 키트 장비로는 처치가 곤란한 환자들의 경우에도 항공사나 환자 가족 등이

        의사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소송 사례가 많기 때문에 실제 의사들은 기내 닥터콜에 나서길 꺼려하고 있다.

        기내 응급상황에 응해준 닥터에 대한 보상이라든지 법적 보완장치가 절실한 상황.....

        비단 그러한 이유가 아니더라도, 응급의학과나 가정의학과 의사가 아닌 경우

        메인 과가 아닌 환자의 진료에 자신이 없어하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그리고 수백명이 탑승한 비행기에서 의사가 나뿐이겠어 하는 생각 등으로 참여도가 떨어지는 것이 현실..

 

저 개인적으로도 기내 닥터콜 상황이 안생기는 게 최고라 생각하며 다른 선생님이 먼저 나셔주셨으면 좋겠다고 항상 생각하고 있지요.

 

 

P.S>1  루프트한자 에서는 의사 신분 증명을 하면 5천 마일을 보너스로 준다.

비행기 부킹, 탑승 시에 태그를 달아서 기내 의료상황이 생겼을 때

기내닥터콜 방송으로 승객들을 불안하게 하지 않고 조용히 의사에게 도움을 요청한다고 한다.

 

P.S>2  미국심장협회(AHA)  에서 최근에 가이드라인이 바뀌어서 이제 심폐소생술의 경우 심장마사지만! 해도 되는 걸로 바뀌었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인공호흡(mouth to mouth)은 이제 안해도 상관 없다는 것이죠. 심 정지 환자의 경우 심장맛사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했네요.